정신분석적 미술치료
(미술치료는 Judith Rubin, Cathy Malchiodi의 저서가
전 세계적으로 표준적 참고문헌으로 사용된다.
국내에서는 이인수·이은경 저서가 대표적이다.)
정신분석적 미술치료는
프로이트 정신분석 이론에 기반해
무의식을 미술작품을 통해 표현하고 탐색하는 치료이다.
언어화되지 않은 무의식이나 미해결된 감정 등을
상징을 통해 표출할 수 있다고 보며
이를 통해 내담자로 하여금 자각과 통찰을 얻게 한다.
오늘은 정신분석적 미술치료
정신분석의 핵심과 정신분석토대의 미술치료에 대해 알아보겠다.
1. 정신분석 핵심
-인간관
생물학적존재, 갈등의존재, 결정론적존재
무의식적 욕구와 갈등에 의해 영향받는 존재로 보았다.
인간의 행동은 본능에 의해 결정된다고 본다.
특히 성적·공격적 충동과 그 충동의 억압 사이에서 갈등하는 존재이다.
(성적본능은 리비도, 공격적본능은 타나토스)
욕구충족과 갈등해결을 통해 성격이 형성되며
5~6세이전 기본적 성격구조가 결정된다는 결정론적입장이다.
정신분석에서 본능은 순수한 생물학적 욕구이며,
인간의 본능은 동물의 것과 구분해 추동(충동)이라 부른다.
-성격구조
원초아(생물학적구성요소) | 이드(id) |
자아(심리적구성요소) | 에고(ego) |
초자아(사회적구성요소) | 수퍼에고(superego) |
이 세 가지 성격이 경쟁과 타협을 통해
외부세계와의 상호작용이 이루어진다.
건강한 삶을 위해서는 자아의 기능이 중요하다.
-의식과 무의식
Mariana Montrazi님의 사진: https://www.pexels.com/ko-kr/photo/8348548/
의식수준
항상 자각하고 있는 지각, 사고. 정서경험 등을 의미한다.
전의식수준
평소에는 의식하지 못하지만 노력하면 쉽게 의식으로 떠올릴 수 있다.
기억이나 경험, 무의식의 내용을 의식으로 연결하는 교량이다.
무의식수준
자각하려는 노력에도 불구하고 쉽게 의식되지 않는
다양한 심리적 경험이다.(억압의 욕구, 감정, 기억의보관소)
인간행동의 대부분이 무의식 속에 존재하는
심리적 요인에 의해 결정된다고 보기에
무의식을 매우 중요하게 본다.
무의식에 저장된 심리적 요소들은
일치성,상층성에 따라 서로 촉진하거나 억제하는
역동적 관계에 있다->이것이 바로 정신역동
-불안
정신분석에서 불안은 어떤 것을 하도록 우리를 동기화하는 긴장상태이다.
불안은 원초아,자아,초자아가 서로 부딪힐 때 발생한다.
3가지로 나눌 수 있다.
현실적 불안
실제적 불안. 실제로 현실에서 행해진 일에 대한 공포.
도덕적 불안
초자아 발달 시 양심과 관련된 불안.
초자아로부터 처벌 받을 까봐 두려운 공포.
ex) 처벌받을 만한 행위를 했고, 그것이 발각 될까봐 불안을 느낀다면
현실적 불안이 된다.
혹시 발각될 위험이 전혀 없는데도 불안하다면
이것은 도덕적 불안이 될 수 있다.
신경증적 불안
본능적 충동을 통제하지 못해 불상사가 생길 것 같은 위협에서 오는 불안이다.
원초아와 자아 간의 긴장상태이다.
원초아가 주는 충동-자아의 합리적 판단 간의 긴장상태에서
자아가 제 역할을 하지 못하면 억압 실패로 충동이 지속된다.
수용될 수 있는 형태로 표출되지 못한 충동은 또다른 신경증적 증상을 유발한다.
-방어기제
불안으로부터 자신을 지키기 위해 방어기제를 발동시킨다.
방어기제의 종류로는
억압, 투사, 부인, 동일시, 퇴행, 합리화, 승화, 치환, 반동형성 등이 있다.
방어기제 매커니즘1
무의식적 갈등 존재->현재 생활의 압력이나 갈등->무의식적->갈등의 정서적 재현
방어기제 매커니즘2
자아불균형->불안형성->방어기제동원->심리적증상표출
-치료목표
-핵심은 무의식의 의식화
-원초아가 있는 곳에 자아가 있게 하는 것->즉, 자아의 기능 강화
-내담자의 성격구조(원초아/자아/초자아)를 건강하게 변화시키는 것
-증상의 제거보다, 증상을 유발한 무의식적 갈등과 성격적 문제의 해결
-자유연상,꿈분석,전이분석,저항분석,해석,훈습 등의 다양한 치료기법 사용
2. 정신분석적 미술치료
정신분석은 미술치료처럼 비언어적 매체를 사용하는 치료에서
더욱 효과적으로 활용될 수 있다.
정신분석 이론에 기반해 미술활동을 통해 만들어내는 작품에
본인의 심리적 갈등을 상징적으로 표현해낸다.
이를 통해 상담자는 내담자의 심리적 갈등을 파악해 해석하며
내담자에게 치료적 통찰을 제공한다.
-미술치료에서 강조되는 정신분석 핵심개념
무의식
Unconscious 의식되지 않지만 행동과 정서에 영향을 미치는 심리적 내용에 포커스
무의식의 시각화. 언어로 표현하기 어려운 내면의 갈등과 감정을 이미지로 나타낸다.
꿈과 상징
Dreams & Symbols 무의식의 표현이 상징 형태로 드러난다. 그것에 포커스.
작품 속 색, 형태, 주제는 내담자의 정서와 심리상태를 반영한다.
자유연상
Free association 억제하지 않고 자유로운 표출을 강조한다.
이미지나 감정의 흐름이 여과없이 드러난다.
방어기제
Defense mechanisms 갈등을 피하기 위한 무의식적 심리작용에 포커스를 맞춘다.
회피, 억제, 투사 등 작품을 통해 드러나는 무의식적 방어 양상을 해석한다.
전이와 역전이
작품을 보며 느끼는 감정, 상담자,내담자의 태도나 반응에서
각자의 무의식적 해결과제에 대한 힌트를 얻는다.
-치료목표
정신분석적 미술치료에서 치료목표는 다음과 같다.
-억압된 것 드러내기
-이전에 숨겼던 생각이나 느낌이 행동에 미치는 의미에 대한 통찰
-전이에 대한 환자의 통찰력을 함양
-통찰된 것을 일상생활에 적용하는 것을 재학습
-평가
의의 | 주의 |
깊은 심층 심리 탐색 가능하다. | 주관성, 치료자의 역전이 개입 |
상징을 통한 감정 표현을 촉진한다. | 해석적 접근이 부담 |
언어적 한계를 지닌 대상에게 효과적이다. | 인지적 명료화나 구체적 문제해결에는 부족하다. |
미술활동을 통해 내면의 억압된 감정을 표출하고 포착하며
재구성하게한다.
특히 정신분석적바탕과 비언어매체인 미술치료는
서로 효과적으로 활용될 수 있다.
참고
Freud, S. (1923). The Ego and the Id. The Standard Edition of the Complete Psychological Works of Sigmund Freud.
Hall, C. S., & Lindzey, G. (1978). Theories of Personality (3rd ed.). John Wiley & Sons.
Corey, G. (2016). Theory and Practice of Counseling and Psychotherapy (10th ed.). Brooks/Cole.
Rubin, J. A. (2010). Introduction to Art Therapy: Sources & Resources (2nd ed.). Routledge.
Malchiodi, C. A. (2012). The Handbook of Art Therapy (2nd ed.). Guilford Press.
Naumburg, M. (1958). Dynamically Oriented Art Therapy. Grune & Stratton.
이인수, 이은경 외 (2019). 「미술치료학 개론」. 학지사.
이장호 (1994). 「심리학개론」. 박영사.
다음시간에는 정신분석미술치료의
사례예시와 실제 저널활동을 기록해보겠다.
'건강' 카테고리의 다른 글
[직무불만족]"한 것도 없는데 왜 이렇게 힘들지?"→ 움직여야 살아나는 사람 (4) | 2025.06.12 |
---|---|
정신분석적 미술치료 : 사례와 저널활동(생애첫기억) (1) | 2025.06.11 |
미술치료와 매체3 : 종류와 특징, 주의사항 (1) | 2025.05.28 |
미술치료와 매체2 : 저널활동(하루를 표현하는 그림) (0) | 2025.05.26 |
미술치료와 매체1 : 매체 선택 (0) | 2025.05.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