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담

게슈탈트 미술치료란? "지금-여기의 감정을 그림으로 표현하는 방법”

justcoco 2025. 6. 15. 10:45
반응형

게슈탈트 미술치료란? "지금-여기의 감정을 그림으로 표현하는 방법”

게슈탈트 미술치료는
게슈탈트 치료에서 기원한 미술치료이다.

먼저 게슈탈트 치료에 대해 대략적으로 살펴본 후 
게슈탈트 미술치료에 대해 알아보겠다.

그리고 다음 포스팅에서는
구체적 사례나 예시, 적용 등에 대해 살펴보며
저널 활동을 해보겠다.

반응형

게슈탈트 치료

게슈탈트치료는 실존적 심리치료의 한 유형으로
'전체는 부분의 합 보다 크다'라는 원리를 기반에 둔며
인간의 감정, 욕구, 사고, 행동 모두를 하나의 의미있는 전체로 본다.

학문적 뿌리는 정신분석과 게슈탈트심리학이며
치료의 궁극적 목표는 자아통합, 감정표현, 주체성 회복이다.
내담자 자신의 책임감을 중요시한다.


Fritz Perls

-1893-1970
-게슈탈트 치료의 창시자 중 한 사람
-심리내적현상와 알아차림 중시
-독일 베를린 1남 2녀 중 막내로 태어났으며,
정신과전문의 자격과 의학 박사 학위를 따고
로라펄스 Laura Perls 와 결혼한다.

초기에는 프로이트 정신분석의 영향을 받는다.
구강적저항 이론 발표했으나 프로이드에게 받아들여지지 않았다.
권위주의적 태도에 실망하고 정신분석과 거리 두게된다.

막스 레버 등의 게슈탈트 심리학자들과의 교류를 통해 이론적 토대를 넓힌다.
미국 뉴욕에서 <게슈탈트 치료연구소>개설,
이후 캘리포니아에 이주해 <에살렌 연구소>에서 활동하다
심장마비로 사망한다.

 Laura Perls

-1905~1990
-프리츠펄스의 아내,
-대화적관계와 치료자의 지지적 역할을 강조
-독일 프로츠하임 출생해 게슈탈트심리학 박사학위 취득,
 프리츠펄스의 부족한 점 보완하며 게슈탈트치료 발전에 기여

핵심개념

지금-여기 here-and-now 
과거가 아닌 현재 경험에 포커스
알아차림 awareness
신체감각, 감정, 사고를 있느 그대로 인식하고 자각
접촉과 경계 contact and boundary
자아-타인-환경 사이의 상호작용 양상이다
전경과 배경 foreground and background
전경은 의식(초점)하고 있는, 배경은 의식하지않는 부분이다.
미해결과제 unfinished business
현재 삶에 영향을 미치는 과거의 감정
책임 responsibility
스스로에 대한 책임감, 주체성 강조.
전환기법 creative adjustments
환경적응을 위한 내적 전략

게슈탈트치료는 인간 유기체가 환경과의 접촉 속에서
통일된 전체로 기능하는 존재라는 점을 강조한다.

인간관

1. 현재 중심적인 존재
2. 부분들의 합이 아니라 전체 협응적 존재
3. 자신의 자유로운 선택에 의해 잠재력을 각성할 수 있는 존재
게슈탈트치료는 개인의 의식에 떠오르는 체험의 자각을 강조한다.

임상적특징

표정, 목소리톤, 몸짓 등의 비언어적 표현을 중시한다.
대화스타일이 직접적이고 대면적이다.
환자의 주체성을 강조한다.

치료포인트

-증상제거보다는 성장에 관심을 기울인다.
-내담자 스스로 자기 자신을 되찾도록 돕는다.
-내담자 스스로 내적 힘을 동원하여 자립할 수 있도록 돕는다.
-자신와 세계에 대한 새로운 인식을 돕는다.
-알아차림-접촉주기에 주목하며 단계에 맞게 돕는다.
(물러남->감각단계->알아차림단계->에너지동원단계->행동단계->접촉단계)


게슈탈트와 미술치료

게슈탈트 치료 이론에 기반해
미술작업을 통해 내담자의 통찰과 통합을 돕는 치료이다.

미술작업을 통해 비언어적 감정과 무의식적 자각을 촉진한다.
미술 창작 과정 자체로 지금-여기에 머무르며
표현을 확장시킨다.

awareness

Arina Krasnikova님의 사진: https://www.pexels.com/ko-kr/photo/6998266/

미술치료적 기제

미술표현은 내면 세계의 상징화이다.
자유롭고 창의적인 표현은 내면의 억압된 감정,무의식을 드러내는 통로 역할을 한다.
즉 작품을 매개로
"대화 및 역할바꾸기", "통합과 재구성"이 가능해진다.

미술치료와의 연관성

미술치료의 창시와는 관련이 없지만, 게슈탈트 치료는 
게슈탈트 미술치료 Gestalt Art Therapy 라는 독립적인 영역으로 발전한다.

관련개념 치료적용
지각 시각적 표현을 통해
자아-환경 접촉 양상 파악
감각의 자각 시각적 표현을 통해
지금-여기의 감정을 인식
미해결과제 시각화 과거 장면을 그리고 대사를 삽입.
통합 작업이 이루어진다.
역할 바꾸기 그림 속 등장인물과 역할을 바꾼다.
감정 통합 작업이 이루어진다.

단계별 흐름

치료과정 속 전체적인 단계별 흐름은 다음과 같이 이루어진다.

  1. 자각촉진 : 색,선,질감을 통해 감각에 집중.
  2. 표현활동 : 자신-관계-경험을 주제로 자유롭게 표현.
  3. 작품과 대화 : 그림 속에 등장하는 요소와 역할 바꾸기, 대화, 질문 등의 커뮤니케이션 활동.
  4. 통찰,통합 : 위 활동을 통해 느낀 점 나누기. 반복되는 감정패턴이 있다면 통찰 유도.
  5. 새로운선택 : 책임과 선택의 자각을 통해 자기결정 촉진.

치료포인트

-시각적인 메시지와 목소리 톤, 신체적 표현, 말의 내용 등에 나타난 개인적인 표현을 전체적으로 다루어야한다.
-내담자가 만든 그림 속에서 능동적인 움직임에 초점 둔다.
-내담자가 선의 형태, 재질, 색깔, 운동 등에 드러나는 것을 능동적으로 지각하도록 격려한다.
-내담자가 만든 형태가 개인적인 의미를 어떻게 표현하는지 깨닫도록한다.
-내잠자가 그림을 그리고 자신이 만든 표현을 인식할 것을 요구한다.
-작품 속에서 욕구와 자원을 지각하는데 최선을 다하도록 요구한다.
-진정한 통찰을 얻도록 지지해야한다.

치료기법 적용

치료기법   미술치료 적용
빈의자기법 대상과의 상상을 통해
미해결 과제를 해소한다.
그림 속 인물과 대화하며
감정 정리.
몸자각표현 신체감각을 그림으로 표현한다. 오늘 내 몸은 어떤 색일까?
상황재구성 현재 정서를 시각화 한 뒤 재구성한다. 과거 상황을 다시 그려보며
감정을 조정.
대상동일시투사 그림에 등장하는 대상에 
자신의 감정 투사
그 인형은 지금 어떤 기분일까?

출처

-Perls, F. S. (1947). Ego, Hunger and Aggression.
-Perls, F., Hefferline, R., & Goodman, P. (1951). Gestalt Therapy: Excitement and Growth in the Human Personality.
-Oaklander, V. (1978). Windows to Our Children – 게슈탈트 접근 아동미술치료서
-Zinker, J. (1977). Creative Process in Gestalt Therapy.
-Oaklander, V. (1978). Windows to Our Children: A Gestalt Therapy Approach to Children and Adolescents.
-Zinker, J. (1977). Creative Process in Gestalt Therapy.
-Joyce & Sills (2001). Skills in Gestalt Counselling & Psychotherapy.
-Francesetti, G. (2013). Art and Gestalt: Creative Tools for Psychotherapy.


오늘은 게슈탈트미술치료에 대해 개념,기법 등을 알아보았다.
다음 포스팅에선 적용예시과 저널활동을 해보겠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