음악

그랜드 피아노_ 레피티션 메커니즘/ 더블이스케이프먼트

justcoco 2025. 3. 26. 10:29
반응형

그랜드 피아노의 레피티션 메커니즘과 더블 이스케이프먼트


기능적인 면에서 보면 업라이트피아노에는 없는 기능들이
그랜드피아노에 존재한다.

반응형


그랜드피아노에만 있는 레피티션 메커니즘에 대해 알아본다.
그리고 레피티션 메커니즘과 헷갈리는 개념인 더블이스케이프먼트 시스템에 대해서도 알아보았다.
(+그랜드피아노의 건반을 지탱하는 세 가지 레일도)

레피티션 메커니즘에 대해 알기 전, 관련 부품에 대한 용어를 정리하자면 다음과 같다.


*관련 부품 용어

1. 건반key : 누르는 부분
2. 잭jack : 해머를 밀어 올리는 부품
3. 해머hammer : 현을 치는 부품
4. 레피티션 레버 : 해머를 지탱하는 부품
5. 레피티션 스프링 : 레피티션 레버를 원위치로 되돌리는 부품

*그랜드피아노의 레피티션 레버 (Repetition Lever)

해머가 아래쪽으로 너무 내려가지 않도록 지탱하는 부품이다.
즉, 타건을 통해 한번 현을 친 해머가 완전히 아래로 내려가지 않게 지탱한다.

*그랜드피아노의 레피티션 스프링 (Repetition Spring)

레피티션 스프링은 레피티션 레버를 원래 위치로 되돌리는 역할을 하는 스프링이다.

건반을 누르면, 잭이 레피티션 레버를 통해 해머를 위로 들어올린다.
해머가 현을 치고 나면 잭은 빠르게 원래 자리로 돌아간다.
하지만 해머는 완전히 내려가지 않고 레피티션 레버 위에 잠시 머물러있는다.
(즉, 레피티션 레버가 해머를 받치고 있는 상태이다.)
연타 시 건반을 살짝만 눌러도 잭이 다시 레피티션 레버 아래로 들어가 해머를 위로 밀어올릴 준비를 한다. 
연주자 입장에서는 건반을 완전히 놓지 않아도 빠른 연타가 가능해지므로
연타나 트릴 시 힘이 덜 들어간다.

노란원 레피티션레버, 빨간원은 잭꼬리

레피티션 메커니즘은 그랜드피아노에만 있다.
업라이트피아노의 경우,
이 메커니즘이 없으므로 스프링이 해머를 완전 리셋해야지만 다시 연타가 가능하다.
연주자 입장에선 업라이트피아노에서 타건 시, 한번 쳤던 건반을 완전히 다 놓아야지만 또 연타가 가능하다.
매우 힘이 많이 들어간다.


* 잠깐, 그랜드피아노의 건반을 지탱하는 세 가지 레일

그랜드피아노 건반의 균형은 세 개의 포인트에 있다. 
1. 프론트 레일 (Front Rail)
: 건반 앞 지지, 눌릴 때에 일정한 깊이 유지. 연주 중 흔들리지 않게 한다.
: 프론트 레일 핀과, 핀을 감싸는 펠트가 있다. 
2. 밸런스 레일 (Balance Rail)
: 건반 중간 지지, 부드러운 움직임을 도우며 균형을 유지한다.
: 밸런스 레일 스터드가 있다. 건반이 중심 기준으로 원활하게 회전하게 돕는다.
3. 백 레일 (Back Rail)
: 건반 뒤 지지, 흔들리지 않게 함, 건반이 제자리로 돌아올 때 제 위치로 돌아가도록 도움.

이처럼 주요 세 개의 레일 위에서 건반은 균형을 유지하며 움직인다.

-그랜드피아노는 가운데 밸런스 핀을 중심으로 앞뒤로 움직인다.
여기서 밸런스 레일 스터드는 밸런스 레일을 안정적으로 고정하게 돕고
덕분에 건반이 부드럽고 안정적으로 움직인다.

-밸런스 레일 스터드를 조정하면 건반의 높이를 조절할 수도 있다.
(건반이 너무 낮거나, 너무 높으면 연주 감각이 크게 달라진다)

-밸런스 레일 스터드는 습도로 인한 나무의 수축/팽창에도
건반이 비뚤어지지않게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 이스케이프먼트 Escapement

레피티션 메커니즘과 혼동 될 수 있는 이스케이프먼트 메커니즘에 대해 알아보자.

이스케이프먼트 메커니즘은, 해머가 현을 친 후 바로 원위치로 돌아가게 하는 메커니즘이다.

해머가 현을 오래 누르면 소리가 깨끗하지 못하게 된다. 소리가 뭉개지며 명료도가 낮아진다.
이스케이프먼트는 현을 친 후, 해머가 바로 잭에서 분리되게한다. 즉 잭이 해머에서 빠진다.

이스케이프먼트 메커니즘은 그랜드피아노 뿐만 아니라 업라이트 피아노에도 있는 기본 기능이다.
레피티션레버와 레피티션스프링이라는 그랜드피아노에만 있는 특정 부품이 아닌,
피아노의 기본 부품인 잭과 해머가 발동시키는 기작인 것이다.

이스케이프먼트 메커니즘 덕분에 피아노의 소리가 더욱 명료해지는 것이다.

* 더블 이스케이프먼트 Double Escapement


Sébastien Érard(세바스티앙 에라르)는 이 이스케이프먼트 시스템을 더 진화시켜
더블 이스케이프먼트 시스템을 개발한다.
*더블 이스케이프먼트 시스템은 그랜드피아노에만 적용된다.
건반을 완전히 떼지 않고 절반 정도만 올려도 레피티션 레버가 해머 중간지점에서 받쳐주며
해머는 원위치로 되돌아가지 않고 타건을 준비한다. 결과적으로 연타가 수월해진다.

일반 이스케이프먼트는 건반을 완전히 떼야지만 다음 타건이 가능
더블 이스케이프먼트는 건반을 완전히 떼지 않아도 다음 타건이 가능


*그럼 더블 이스케이프먼트레피티션 메커니즘은 같은 것?

1. 더블 이스케이프먼트 시스템은 원리를 설명하는 것이다.
즉   Sébastien Érard 세바스티앙 에라르가 발명한 이론적 개념이다.

2. 이를 실제로 구현한 것이 레피티션 레버와 레피티션 스프링을 활용한 레피티션 메커니즘이다.
제조사들이 만들어내는 이 부품들 덕분에
더블 이스케이프먼트 개념을 실제 악기에 적용했고 연주자들은 수월히 연주할 수 있게 되었다.

완전히 같은 것은 아니지만, 같은 기능에 대해 구현하는 서로 밀접하게 연결되어 있는 개념들이다.

일단 두 개념과 연결된 기능은, 그랜드피아노에만 적용되는 기능이며 업라이트에선 불가능하다.


정확한 조율에 앞서, 완전한 조정이 되어 있는 상태가 필수다. 
그 완전한 조정을 위해 피아노의 타현 메커니즘을 정확히 알아야한다.
정상적인 동작과 운동을 잘 알아야한다. 

피아노의 타현 메커니즘에 정규격의 치수가 있다. 그 본래의 치수를 기억해야지만
습도나 온도로 인한 부품 팽창&압축에도 완전한 조정 작업, 더 나아가 정확한 조율이 가능해진다.

제조사, 피아노마다 차이는 있겠지만 대략적으로는 다음과 같다.

건반 화이트키  길이 24~26cm, 높이 2.5cm, 너비 2.3cm
건반 눌렀을 때 깊이 Key deep 10mm ( ± 0.5mm)
잭Jack(해머 올려주는) 높이 18~20mm
해머Hammer 회전각
(정지~현까지 이동하는 거리)
45~50mm
액션Action(건반~해머) 높이 45~50mm
댐퍼Damper 깊이
(페달 안밟았을 때 댐퍼가 현 눌러주는 정도)
6~8mm
댐퍼 리프트Damper Lift
(페달 밟았을 때 댐퍼 올라가는 높이)
10mm
이스케이프먼트Escapement 거리
(해머가 현에서 떨어지는)
1.5~2mm
더블 이스케이프먼트 메커니즘 1~2mm 여유공간 유지
레피티션 레버 작동 거리
(해머가 원위치로 완전히 돌아가지 않도록)
1~2mm

 

다음에는 피아노 조정을 위한 그랜드피아노의 액션 운동 과정을 알아보아야겠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