피아노와 온도, 습도
피아노와 피아노 조율에 있어 온도와 습도는 어떤 영향을 미칠까?
온도는 철선으로 이루어진 피아노의 현에, 습도는 목재부품으로 이루어진 피아노 전반에 영향을 미친다.
1.온도가 조율에 미치는 영향
피아노의 발음체인 현은 '철'선이기 때문에 당연히 온도에 반응한다.
온도가 높아지면 늘어나고, 온도가 낮아지면 수축한다.
따라서 온도는 피아노조율에도 큰 영향을 미친다.
예를 들어 여름에 냉방 전 28도에서 피아노를 조율 한 후, 냉방 후 23도에서 연주하면
피아노의 현이 수축하여 음의 변화가 생긴다.(1사이클 이상)
겨울에는 더 심각하다.
난방 전 8~15도 가량의 온도에서 피아노를 조율 한 후 ,난방 후 22~25도 이상 까지 상승하면
(+무대 조명까지 있다면 온도는 더 상승하게 된다.) 음은 2~3사이클 까지 변화한다.
기껏 맞추어놓은 조율이 엉망이된다.
이를 막기 위해서는
1)홀이나 연주장에서는 항온장치를 반드시 마련해야한다.
2)온도차이(10도 이상) 발생 시 피아노의 적응 시간을 주어야한다.
( 최소 30분~1시간 가량 지난후 조율한다)
2.습도가 조율에 미치는 영향
온도가 음에 바로 영향을 미친다면, 습도는 음에 서서히 영향을 준다.
온도가 현에 영향을 준다면, 습도는 나무에 영향을 준다.
알다시피 피아노 부품의 대부분은 나무이다.
습기가 나무에 서서히 스며들면서 보름~한달이 지나면 음정의 큰 변화가 일어난다.
*크라운Crown이란?
피아노의 향판은 크라운 형태로 되어있다.
크라운은 향판의 중심이 살짝 볼록하게 솟은 곡면 형태를 의미한다.
의도적인 설계에 의한 것으로 피아노 소리 품질에 영향을 준다.
-소리를 증폭시킨다. 평평한 향판보다 더욱 풍부한 소리를 낸다.
- 현의 장력에도(230여개의 현의 누르는 힘은 400kg이 넘는다)
탄력을 유지하며 울림을 지속시켜 소리가 자연스레 공명한다.
- 현의 장력에도 안정성 유지. 내구성 상승.
건조로 인해 향판이 가라앉아 크라운이 없어지면,
힘없는 소리가 난다. 탄력이 사라지고 징징 우는 소리가 날 수도 있다.
습기로 인해 향판이 심하게 부풀어오르면 음정 자체가 불균형해진다.
특히 장마철에는 향판이 많이 부풀어오르고 심지어 음정이 30~40센트씩 올라간다.
(440Hz인데 30센트 올라가면 450Hz가 됨)
특히 습도가 높아 올라간 음정을 조율하여 내리고 나면,
습도가 낮아지는 가을 쯤엔 다시 음정이 더욱 내려가 음정을 또 올려야한다.
3. 습도가 액션&건반에 미치는 영향
1)프론트홀front hole : 건반 앞에 위치한 구멍, 이 구멍에 프론트핀이 고정된다.
(건반이 좌우로 흔들리지 않음, 부드럽게 눌리고 올라오도록 돕는)
2)밸런스홀balance hole : 건반 중앙에 위치한 구멍. 이 구멍에 밸런스핀이 고정된다.
(건반을 앞뒤로 움직이게 한다. )
3)부싱클로스bushing cloth : 프론트홀과 밸런스홀 내부에 부착된 펠트 소재의 천.
건반-핀 맞닿는 부분의 마찰 줄임.
부싱클로스로 인해 타건 시 부드러운 움직임이 가능하다.
마모되는 소재이기때문에 교체가 필요.
위의 세 가지는 건반의 부드러운 움직임에 필수적인 역할을 한다.
습기로인해 나무가 부풀어오르면 프론트홀 구멍이 좁아진다.
누른 건반이 다시 올라오지 않으며 습기로 인해 부싱클로스 역시 제대로 역할하지못한다.
특히 액션은 아주 정교하게 만들어져있어 세밀한 정밀도가 요구된다.
습기로인해 센터핀들의 부싱클로스가 부풀어오르면 센터핀의 회전 운동이 둔화된다.
양모로 만들어진 해머 헤드는 습기로 인해 눅눅해지면 둔탁해진다.
또한 여러 접합부에 사용된 접착제가 습기의 영향을 받으면 떨어진다.
4. 건조가 액션&건반에 미치는 영향
높은 습도가 악영향을 미치는 것 처럼, 과한 건조 역시 피아노 상태에 치명적이다.
앞서 언급했듯 피아노의 부품 중 대부분이 나무이므로 과하게 건조해지면
나무의 수축현상으로 인해 변형이 일어난다.
-특히 정밀을 요하는 액션 부품은 거의 나무 부품이므로
과한 건조로 인해 나무 수축이 일어나면 나사못들이 풀려 잡소리가 난다.
-해머 섕크가 휘어 다른 현을 칠 수도 있다.
-해머섕크와 해머우드 접착부분이 떨어질 수도 있다.
-건조함은 건반의 휨 현상을 유발한다.
건반이 휘면, 두개의 소리가 난다던가, 아예 소리가 나지 않는다.
5. 건조가 핀판&향판에 미치는 영향
핀판의 역할은 조율을 오랫동안 유지시켜주는 것이다.
핀판은 여러 겹으로 만들어져있다. 현의 당기는 힘에도 버틸 수 있는 내구성이 있다.
-핀판에는 튜닝핀이 박혀있는데, 건조함으로 인해 나무가 수축해 핀판의 구멍이 넓어지면
튜닝핀이 헐거워진다.
-튜닝핀이 헐거워지면 현의 당기는 힘을 지탱하지 못해 음이 풀린다.
-튜닝핀이 헐거워진 상태라면 향판의 갈라짐도 의심해보아야한다.
건조함은 향판을 갈라지게한다. 향판은 피아노의 음을 증폭시켜 웅장하게 울리게한다.
향판의 갈라짐은 음을 새어나가게 만들고 음향이 빈약해진다.
핀판이나 향판의 손상은 수리비로 큰 돈이 나가게되니(공장 운반해 해체 작업이 필요할 수도 있다)
평소에 관리를 잘 해야한다.
이와같이 온도와 습도는 피아노의 음정과 소리울림에 막대한 영향을 미치며
조율 작업 시에도 빼놓을 수 없는 고려 요소이다. 피아노가 놓여진 환경이 어찌되었든 조율이 잘못되면
조율사의 잘못으로 간주되니 항상 피아노가 놓여진 환경에 주의를 기울여야한다.
* 적당한 조율시기는 언제인가?
대게는 연중 습도 분포도 중 변화가 적은 봄, 가을/ 가정집에서는 6개월에 1번을 권장
하지만 피아노의 주변 환경에 따라 천차만별이다.
조율 상태에서 8센트의 변화가 일어나면 조율시기라고 보기도 한다.
(4계절이 뚜렷한 국가에서는 매 계절마다 10센트 이상의 변화가 일어난다..)
결국 8센트 기준으로 잡으면 4계절 국가에서는 계절이 바뀔 때마다 조율해야한다는 말....
하지만 피아노 조율은 음정의 조율을 넘어, 피아노의 전체 동작 상태에 대한 점검을 포함한다.
평소의 관리가 피아노수명을 연장시키고 최상의 컨디션으로 유지시키게하니
매우 중요하다고 할 수있다.
'음악' 카테고리의 다른 글
그랜드 피아노_ 레피티션 메커니즘/ 더블이스케이프먼트 (1) | 2025.03.26 |
---|---|
피아노 물 쏟았을 때. 피아노를 두면 안되는 곳( + 절대습도와 상대습도 ) (0) | 2025.03.25 |
소리의 종류_순음, 악음, 비악음, 복합음, 단음, 협화음, 배음... (0) | 2025.03.23 |
그랜드피아노 업라이트피아노 뭐가 달라? _ 피아노 구조와 명칭 (1) | 2025.03.22 |
피아노의 설계_ 업라이트피아노의 현 배분, 현 위치 (0) | 2025.03.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