음악

업라이트피아노 타현 부품 정리

justcoco 2025. 4. 1. 21:11
반응형

업라이트피아노의 타현 부품

피아노의 타현기구 중 업라이트용 부품에 대해 정리해 보았다.
크게 나누면 해머/버트/캐처/브라이들/위펜/잭/백체크이다.
그리고 그와 가깝게 위치하는 부품들을 각각의 카테고리 안에 넣었다.

반응형

다음과 같은 흐름으로 부품들의 순서가 진행된다.
건반 - 위펜 - (댐퍼 개방)- 잭 - 해


1. 위펜 Wippen

업라이트 위펜의 경우 잭플랜지에 잭이 연결되어있어 타현을 하는 기능은 그랜드피아노와 동일하다.
하지만 그랜드와는 구조가 다르다.
1) 댐퍼 스푼이 있어 댐퍼를 작동시킨다. 
2) 백체크가 조립되어있다.
3) 백체크 와이어 옆에 브라이들 테이프 연결을 위한 브라이들 와이어가 있다.

-댐퍼 스푼
댐퍼스푼은 댐퍼 레버를 밀어 현을 개방한다.
위펜과 같은 위치에 붙어있는게 잭과 댐퍼스푼이다. 잭이  먼저 움직여 해머가 전진하면

댐퍼스푼은 댐퍼레버를 밀어 댐퍼를 개방시킨다
(댐퍼는 음이 울리지 않도록 현을 멈추는 부품이다. 댐퍼가 개방되면서 현에서 소리 날 준비 완료) 

-위펜 플랜지
위펜에서 회전축 역할을 하는 금속 부품이다.
위펜이 바르게 작동할 수 있게한다. 타건 시의 해머의 동작을 원활히 한다.

-위펜리프트 
해머를 직접 위로 밀어올려 현을 타격하게 하는 금속 부품이다.
위펜 플랜지와 연결되어있다. 센터핀이 리프트와 함께 중심축을 중심으로 회전하게 돕는다.
타건 시 발생하는 힘을 해머로 전달하는데 핵심적 역할을 한다. 

-위펜 클로스
위펜리프프와 상단 레버 부분에 부착되어있다. 부품이 올라가거나 내려갈 때 마찰을 최소화한다.

-플랜지 부싱 클로스
천,직물 등의 재질이다. 
위펜 플랜지나 위펜 리프트 부품이 부드럽게 움직이도록 붙어있는 천.

-(위펜 플랜지)센터핀
센터핀은 관절 역할이다. 핀은 항상 천으로 감싸져있다.

위펜 플랜지와 연결되어 있는 핀. 
센터핀을 중심으로 위펜 리프트가 회전한다.

2. 잭 Jack

잭은 타건 시 발생하는 움직임을 해머 시스템으로 전달한다.
즉, 위펜이 먼저 움직이면 잭이 이어 받아 해머를 작동시킨다.

위펜이 끝까지 올라가면, 잭은 버트 밑 부분을 튕기듯 민다.(해머가 현을 때린다)
잭은 오른쪽으로 후퇴한다. 해머는 반동으로 오른쪽으로 가고 캐쳐와 백체크와 만나 멈춘다.

-잭플랜지 Jack Flange
플랜지라는 이름이 들어가면 고정해서 제어하는 부품.
잭플랜지는 위펜과 잭을 이어주고있다.
정확한 위치에 고정해서 정확히 작동할 수 있게 한다.

-잭스프링 Jack Spring
잭플랜지 옆에 쪽에 붙은 금속 스프링.
반동을 통해  잭의 리턴을 돕는다.

3. 브라이들 와이어 Bridle tape

위펜의 백체크 와이어와 평행으로 있는 강철선 와이어이다.
페달시스템과 관련 있는 부품으로
소프트 페달 움직임에 따라 밀고 당기며 소리를 조절한다.

현과 해머 간의 관계를 조정해 소리를 부드럽게 만든다.

-브라이들 테이프 Bridle wire

브라이들테이프는 업라이트에만 있는 테이프처럼 생긴 장치이다.
해머가 원위치로 가는 것을 촉진하는 역할을 한다.
한쪽은 브라이들와이어에 한쪽은 캐처에 연결되어있다.
위펜 하강 시 위펜 무게로 해머를 잡아당긴다.

-브라이들 테이프 스킨 Bridle tape skin
프라이들 테이프를 묶어주는 피복이다. 

4. 해머Hammer

업라이트의 해머는 그랜드해머와 기능,구성이 동일하다.
다만 해머우드의 형상이 다르고, 섕크를 끼우기 위한 구멍이 관통되어있지 않다.

-해머 펠트 파스너
해머의 펠트를 고정하는 부품이다.

-해머 펠트
해머 앞 부분에 덮여있는 펠트이다. 소리의 성질과 질감, 느낌을 결정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주로 양모, 울 등을 재료로 사용하여 내구성을 강하게 하고 소리를 조화롭게 한다. 

-해머 언더 펠트
해머 펠트 아래에 추가로 덧대는 펠트이다.
타건 시 반응성과 소리의 질감을 더욱 세밀히 조정한다.

-해머우드
해머의 목재 부분. 타격 시의 압력을 견딘다.

-해머 생크(shank)
원형 막대기이다. 해머와 버트를 연결시키고 있다.
해머 접착 시 나뭇결을 해머 진행방향과 일치되도록해야 부러지지않는다.

5. 버트Butt

해머와 해머크는 버트와 연결되어있다.
버트는 버트 플랜지로 센터 레일에 고정되어 잭에 의해 운동한다. 
하단부에 버트 펠트와 스킨이 붙어있고, 버트 플랜지 쪽엔 버트 스프링이 있다.
해머가 현 쪽으로 움직이면 스프링이 플랜지 실에 걸려서 해머를 되돌리려고 한다.
버트 스프링 반대 쪽에는 해머 생크와 직각 방향으로 캐처 크가 연결되어있다.
타현 후 해머가 되돌아올 때 백체크가 잡는다.

-버트 플랜지 Butt Flange
중심축 역할을 하는 금속 부품이다.
위펜 시스템에서 위펜 리프트와 해머가 움직일 때에 중심 역할을 한다.

-버트 플랜지실
위펜 리프트와 해머 리그가 서로 충돌하지 않게 하는 실크와 같은 실이다.

-버트 스프링
해머 리그와 위펜 리프트를 제어하는데 사용되는 강철 재질의 스프링이다.
건반에서 손을 떼면, 버트 스프링이 위펜 리프트를 되돌린다. 이때 반동 힘이 생겨
이 반동이 해머 리그의 복원을 돕는다.

-버트 스프링실
버트 스프링이 부드럽게 움직이게 돕고 보호하는 실이다.

-버트 플레이트 Butt Plate
해머 리그와 위펜 리프트가 정확히 연결되어 원활히 작동할 수 있게 하는 금속 부품이다.

-버트 플레이트 나사 Butt Plate Screw
버트 플레이트를 고정하는데 사용하는 나사이다.
마모되거나 풀린 경우 새로운 나사로 교체하여 안정성을 유지해야한다.

-(버트 플랜지)센터핀
센터핀은 관절의 역할을 하며 천에 감싸져있다.

버트 플랜지와 연결되어 있는 금속재질의 핀이다. 중앙 축 역할을 한다.
버트 플랜지와 함께 위펜 리프트와 해머 리그를 제어한다.

-플랜지 부싱 클로스 Flange Bushing Cloth
천,직물 등의 재질이다. 부품이 부드럽게 움직이도록 붙어있는 천.

-버트 언더펠트 Butt Underfelt /버트 언더클로스 Butt Undercloth
펠트나 클로스는 모두 타건 시 소리 질감이나 반응성을 부드럽게 하는데 쓰인다.
버트 언더펠트는 해머 버트 엉덩이(?)쪽에 위치하는 부품. 
버트 언더클로스는 버트 언더펠트를 포함한 버트 아래쪽 부분을 크게 감싸고 있다.
마모되는 것을 방지하기도 한다.

-버트 스킨 Butt Skin
해머 버트 엉덩이(뒷부분) 쪽에 부착되어 있는 스킨(가죽) 부품. 

-버트 펠트 Butt Felt
해머 버트 엉덩이(뒷부분) 쪽에 부착되어 있는 펠트.

(정리하자면 해머 버트 엉덩이 쪽에는,
버트 언더펠트-버트 언더클로스-버트스킨-버트펠트 순으로
부드러운 펠트,스킨 등의 직물 부품이 감싸져 있어
소리와 반응성을 조절하고 마모를 줄여 내구성을 높인다.)

6. 캐처 Catcher

해머가 현 타격 후 과도하게 떨어지지 않게 잡아주고
다시 제자리로 돌아가도록 하는 부품

-캐처 생크 Catcher Shank
버트와 캐처를 이어주는 길다란 몸체

-캐처 스킨 Catcher Skin
캐처의 외피. 스킨. 마찰을 줄여주며 내구성을 높인다.

7. 백체크 Backcheck

해머가 현 타격 한 후 반동에 의해 너무 멀리 가지 않도록 받치고 있다.
다시 원 위치로 돌아오게끔 한다. 

-백체크 펠트 Backcheck felt
백체크에 붙어 있는 펠트. 움직임을 보다 부드럽게 한다.


* 플랜지
플랜지는 고정해서 제어하는 장치이다.
사용 목적에 따른 기능이 동일하지만,
어디에 있느냐에 따라, 또한 피아노 제조업체에 따라서도 생김새가 다 다르다.
(버트 플랜지에는 스프링을 고정할 수 있는 실이 있다.)
(댐퍼 레버 플랜지에는 스프링이 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