피아노의 설계
1. 그랜드피아노의 현 배분과 위치 선정
2. 업라이트피아노의 현 배분과 위치 선정
피아노의 설계_ 1. 그랜드피아노의 현 배분, 현 위치는 아래
피아노의 설계_ 그랜드피아노의 현 배분, 현 위치
피아노의 설계1. 그랜드피아노의 현 배분과 위치 선정2. 업라이트피아노의 현 배분과 위치 선정* 피아노 구조를 크게 나누면 음향장치 / 타현장치 / 케이스(아우터림) 로 나눌 수 있다.음향장치에
justcoco.tistory.com
2. 업라이트피아노의 현 배분과 위치 선정
업라이트 피아노 설계 시 가장 중요한 것은 높이와 폭이다.
[현의 위치와 배열]에 따라 -> 높이와 폭을 결정하게 된다.
업라이트피아노가 낮아질 수록 폭이 더 넓어진다.(현의 경사를 통해 현의 길이를 맞춤)
(첫 아그라프:저음부 현 첫 시작부분에 있는 아그라프/ 아그라프는 홈이 있는 금속, 현을 고정함.)
*첫 아그라프는 목골 위에서부터 60mm 떨어져야한다
이유는 1. 철골 위쪽 테두리 마련 2. 튜닝핀 배열 때문이다.
*첫 아그라프는 목골 측면 모서리에서부터 20mm 떨어져야한다.
*첫 브릿지핀은 목골 아래 모서리에서 최소 120mm 떨어진다.(이 위치면 전체 피아노 폭의 중간 정도에 놓인다.)
이런 과정을 거쳐 첫 번째 현의 방향을 잡는다. 이렇게 찾은 현의 1/8 지점은
아그라프로부터 타현 길이가 된다.
*타현선은 목골 선에 평행으로 그려진다.
(따라서 모든 해머 헤드의 터치 길이는 이렇게 알아낸 제원에 의해 표시)
-88번째 현은 목골 외부 테두리에서 50mm떨어진다.
* 타현선의 총 길이는 타현선과 만나는 88번째 현의 교점이다.
타현선 총 길이는 전체 건반 폭보다 60mm 아래여야한다.
(60mm 이상이면 베이스 현의 위치 바꾸어야함)
*88번째 현은 약 48~52mm 길이가 되며, 타현점 길이는 2~3mm가 된다.
(88번째 현은 보통 타현선에 직각이 된다)
->아그리프와 브릿지핀의 위치가 고정.
*베이스 브리지 위에는 보통 26~30개의 음이 놓인다.
베이스 브리지 위에 놓여질 음의 갯수가 정해지면 첫번째현과 마지막현의 진행방향도 결정된다.
*타현선과의 교점은 베이스에서 13.5mm 고음부에서 13mm의 각 음과 음의 폭을 합쳐서 구한다.
(중음부와 고음부 사이에는 30mm 가량 철골 힘살대가 들어갈 공간을 비운다)
*마지막 저음부 현의 타현점과 중음부 시작 타현점은 50mm 아래로 위치된다. 와이어댐퍼를 놓을 공간을 비우는 것.
->여기서 양 현의 진행 방향이 결정되어진다.
업라이트 피아노 현의 위치와 형태의 설계제도지를 보면 다음과 같다.
*베이스 현은 부채꼴의 형상을 갖는다.
(하지만 이로인해 아그라프 - 튜닝핀 사이의 공간이 줄어들지 않게 해야한다.)
첫 번째 중음부 강선(굵은현)의 브리지핀은 인너림(돌림목) 끝단에서 최소 100mm는 떨어져야한다.
이렇게 저음부와 중음부 브리지의 끝 점을 결정하며, 나머지 영역도 나눈다.
* 업라이트피아노에서 현의 각도와 배열은?
현의 각도와 배열을 어떻게 결정짓느냐에 따라 현 길이 역시 달라진다.
각도 변화에 의해 현이 10% 이상 더 길어지기도한다.
원하는 음향판크기, 타현 해머, 브리지와 향봉 등 전반적인 것을 고려해 설계한다.
*향판
향판에는 향봉, 지주, 브릿지(브리지) 등이 포함된다
-향봉은 업라이트피아노 뒷면 나무판 중에서 사선으로 돌출되어 있는 부분이다.
-지주는 향판 중간중간에 세워진 넓적한 기둥
-브릿지는 피아노 아래 부분을 열면 보이는 작은 홈이 있는 목재(현을 잡고 있다)이다.
브릿지는 현을 공명판과 연결해주어 소리를 확장시킨다.
'음악' 카테고리의 다른 글
피아노 물 쏟았을 때. 피아노를 두면 안되는 곳( + 절대습도와 상대습도 ) (0) | 2025.03.25 |
---|---|
피아노와 온도, 습도 (0) | 2025.03.24 |
소리의 종류_순음, 악음, 비악음, 복합음, 단음, 협화음, 배음... (0) | 2025.03.23 |
그랜드피아노 업라이트피아노 뭐가 달라? _ 피아노 구조와 명칭 (1) | 2025.03.22 |
피아노의 설계_ 그랜드피아노의 현 배분, 현 위치 (0) | 2025.03.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