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필하모닉 피치 2

제작 피치 vs 연주 피치 : 왜 이 둘이 반드시 일치하지 않을까?

지난 포스팅에서는 콘서트 피치와 필하모닉 피치의 실제 차이에 대해 알아보았다.A4 = 400Hz의 합의된 표준점이 있음에도 불구하고,실제 오케스트라는 A4 = 442~445Hz까지 기준피치를 올린다. 피아니스트들의 연주, 알고보면 높은 피치로 조율된 것? : 필하모닉 피치란프로 피아니스트들의 연주, 알고보면 높은 피치로 조율된 것? : 필하모닉 피치란아래 포스팅에서 기준음의 개념, 표기법에 대해 알아보았다. 기준음의 음계 번호: A4와 MIDI 69, A49.. 왜 다를까?오케justcoco.tistory.com그 기준피치 상승의 다양한 이유 중 하나는 악기 고유의 제작 피치와 관련이 있다.악기가 제작될 당시의 기준피치에 맞춰, 오케스트라의 전체 피치를 상승시켜 악기 고유의 음색의 질을 높인다.오늘은 그..

음악 2025.05.04

피아니스트들의 연주, 알고보면 높은 피치로 조율된 것? : 필하모닉 피치란

프로 피아니스트들의 연주, 알고보면 높은 피치로 조율된 것? : 필하모닉 피치란아래 포스팅에서 기준음의 개념, 표기법에 대해 알아보았다. 기준음의 음계 번호: A4와 MIDI 69, A49.. 왜 다를까?오케스트라는 연주 직전 모든 악기가 함께 '라' 조율음을 내며 조율한다.concert pitch 이다.이때 우리는 항상 '라' 라는 기준음을 듣게된다.기준음 '라'는 무엇이며, 그러한 기준이 정해진 까닭, 기justcoco.tistory.com현재 조율의 기준음은 A4음 440Hz이다. 이 기준음을 콘서트 피치 Concert Pitch 라고 한다. 반면 필하모닉 피치 Philharmonic Pitch 라는 것이 있다. 필하모닉 피치는 콘서트 피치보다 조금 더 높은 442~445Hz이다.콘서트 피치가 표..

음악 2025.05.03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