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전체 글 143

업라이트피아노 : 좌판과 하단구조

업라이트피아노 좌판과 하단구조 : 피아노조율기능사 문제해설해당 그림은 업라이트 피아노의 전면 하단 구조로,연주자가 피아노 앞에 앉았을 때 무릎 아래에 있는 부분이다.25번 : 좌판 발좌판의 연장선에 위치했으며피아노 본체 하단을 지지하는 바닥과 닿는 피아노 다리부분이다. 내부에서 좌판을 아래에서 떠받치는 수직 지지 부재로내부구조물이다.26번 : 좌판페달 위, 연주자의 무릎 앞쪽에 위치해있다.피아노 앞면을 구정하는 나무판이다.하지만 그림 상에서 좌판은 우리가 눈으로 보는 얇은 겉판이 아닌,그걸 지지하는 내부 구조물이다.27번 : 좌판 고정틀좌판과 접촉하는 가느다란 고정틀을 의미.겉에서 좌판을 밀착시키는 프레임역할을 한다.28번 : 좌판받침수직하중을 지지하는 역할로좌판이 아래로 처지지 않도록 지지한다.29번 ..

음악 2025.06.20

행동주의 미술치료 사례와 적용 : 수행불안아동에게 과제수행 유도

행동주의 미술치료 사례와 적용 : 수행불안아동에게 과제수행 유도지난시간엔 행동주의와 행동주의미술치료에 대해 전반적으로 알아보았다.작품 그 자체의 상징적의미를 해석하기보다는미술활동 수행 시 나타나는 표면적 행동에 주목해행동수정과 패턴 교정하는 것이행동주의 미술치료의 핵심이었다.오늘은 구체적 사례를 살펴보며어떻게 기법을 적용할 수 있을 지 살펴보겠다.1. 대표적으로 나타나는 아동 사례충동 조절이 어려운 아동미술시간마다 친구의 작업을 망치거나, 갑자기 자리를 이탈한다.→ 보상 기반 과제를 제시예: “오늘은 15분 동안 네 그림에 집중할 수 있으면, 네가 좋아하는 000을 줄게.”자신의 행동 목표를 명확히 인지하며, 통제력을 연습한다.이때 시각적 강화 도구를 병행하면 효과적이다. (포인트나 스티커 등)회피행동..

건강 2025.06.19

행동주의 미술치료 : 미술치료로 행동을 바꾸는 것도 가능할까?

행동주의 미술치료 : 미술치료로 행동을 바꾸는 것도 가능할까?이전 포스팅에서는 정신분석, 게슈탈트 등 다양한 이론이 미술치료를 만났을 때 어떻게 다루어지게되는지 알아보았다.오늘은 관찰가능한 행동변화에 초점을 맞춘 행동주의와 미술치료에 대해 알아보겠다.0. 감정을 표현하는게 미술치료인데 행동을 바꾸는 것도 가능할까?많은 사람들이 미술치료를 단지 감정표현이라고 생각한다.정신분석이나 게슈탈트 등에서는 감정의 표출과 통찰, 상징화를 중요시한다.하지만 모든 미술치료가 내면을 파고드는 식으로만 진행되는 것은 아니다.반복과 패턴감정 그 자체보다도 '행동', 특히 반복적으로 문제를 일으키는 행동 패턴 수정에 초점을 둔다.감정과 행동감정과 행동은 서로 영향을 주고받는다.(감정)불안 → (행동)손톱 물어뜯음(행동)호흡,근..

건강 2025.06.18

[일본유학] ESP도쿄 팜플렛 우편물 도착

[일본유학] ESP도쿄 팜플렛 우편물 도착 ESP엔터테인먼트 온라인 학교설명회 참여 후기2 : 피아노조율과5월 26일 월요일에 ESP 도쿄 엔터테인먼트 온라인 학교설명회를 들었다.그 후기 2탄이다.실질적인 비용이나 입학 관련에 대해 안내받았던 사항을기록해보고자한다.피아노조율과 수업시간피아노justcoco.tistory.com지난번에 ESP엔터테인먼트 온라인 학교설명회를 참여했었다.설명회때 팜플렛 없었어서 그냥 들으면서 진행했는데지난주쯤? 드디어 국제우편이 도착했다.팜플렛 온라인다운팜플렛은 온라인으로도 다운받을 수 있다.아래 링크 클릭.2026_ESP College of Entertainment Tokyo - Dropbox실물팜플렛이 보기편해서 따로 우편을 요청했다.팜플렛 비용우편 신청비용은 무료다.도착시..

어학 2025.06.17

게슈탈트미술치료 : 기법예시와 저널활동(내가보는 나vs남이보는 나)

지난 포스팅에선 게슈탈트 미술치료에 대해 알아보았다.게슈탈트 미술치료는 게슈탈트치료에 기반한 미술치료로 미술이라는 매체를 통해 표현하는 것들로내담자의 통찰, 자아통합을 유도한다.오늘은 그 게슈탈트 미술치료의 기법예시와 저널활동을 해보고자한다.1. 기법예시 1) 빈 의자 기법- " 그 사람에게 보여주고 싶은 그림"-목표​억눌린 감정을 외현화 시키고, 미해결감정을 표현하며 정리한다.관계갈등이나 미해결감정 해소에 초점이 있다.-방법내 마음에 남아있는 사람을 떠올려본다. 그 사람에게 보여주고 싶은 장면을 그림으로 표현해본다그림을 빈 의자에 놓고 마치 그 사람이 듣고있다고 상상하며 말로 표현한다.-질문"이 장면에서 가장 말하고 싶은 것은?""그 사람 대신 나에게 해주었으면 하는 말은 뭘까?""그 사람은 이 그림을..

건강 2025.06.16
반응형